코로나바이러스 마스크 뭘 써야할까요?

최근 201912월 중국의 우한에서 발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우한 폐렴이라고도 불리는 이 질병으로 우리나라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가 난리입니다.

 

etc-image-0

 

코로나바이로스는 아데노바이러스리노바이러스와 함께 사람에게 감기를 일으키는 3대 바이러스 중 하나인데 이 코로나바이러스는 돌연변이가 잦아 신종(변종)이 발생하기 쉽다고 알려져 있습니다(‘사스메르스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입니다).

 

etc-image-1

 

이제 전 세계로 퍼지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감염자가 나오고 있습니다. 이전에 2020120일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포스팅을 했었는데 이때만 해도 괜찮았는데 현재는 하루가 다르게 매우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.

 

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하여 알아보려면 아래 글을 참조하세요.

 

2020/01/20 - 우한 폐렴,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

 

아직까지 뚜렷한 백신도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현재 개인이 취할 수 있는 예방책 중에 효과적인 방법인 마스크 착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
 

etc-image-2

 

1. 마스크의 종류

마스크를 차단 성능에 따라 구분할 수 있습니다.

 

1) 면마스크 : 면섬유조직을 통해 먼지를 거르는 방식으로 방한효과가 있으며 숨쉬기는 편하나 미세먼지나 바이러스를 막기에는 부족합니다.

 

2) 보건용(KF) 마스크 : 입자 차단 성능이 있어서 입자성 유해 물질이나 감염원으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할 목적으로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는 마스크입니다. 이 마스크는 4중 필터의 구조를 가진 마스크로서 이 필터 중에 정전필터층에서 미세먼지 등을 걸러줍니다.

 

일반적으로 봄마다 찾아오는 황사나 미세먼지를 막기 위해 쓰는 마스크는 이 KF 등급의 마스크로 미세 먼지와 같은 입자성 유해 물질과 바이러스성 감염원으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.

 

여기서 KF'KOREA Filter'의 약어로, 분진포집효율, 안면부흡기저항, 누설률의 기준에 따라 마스크의 등급이 나뉩니다. 당연히 KF80, KF94, KF99 에 붙은 뒤의 숫자가 높을수록 입자차단 효과가 커집니다.

 

분진포집효율 : 공기를 들이 마실 때 마스크가 먼지를 걸러주는 비율

안면부 흡기저항 : 공기를 들이 마실 때 마스크 내부가 받는 저항

누설률 : 마스크와 얼굴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새는 비율

 

0.6이상의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80% 이상을 걸러주는 KF80과 그리고 0.4이상의 미세먼지와 오염물질 94%/99% 이상을 걸러주는 KF94/KF99가 있습니다.

 

3) 방역용 마스크 : 미국 국립 산업 안전 보건 연구원(NIOSH) 기준으로 공기에 떠다니는 0.3이상의 오염물질을 95% 이상을 걸러주는 N95가 있으며 주 목적은 바이러스의 차단입니다. 여기서 N‘Not resistant to oil’의 약자로 기름 성분에 대하여 저항성이 없다는 의미입니다.

 

etc-image-3

 

2. 그럼 어떤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나요?

국립 보건 의료위원회(National Health and Medical Commission)의 발표에 따르면 바이러스를 막기 위해 일반인은 방역, 방진마스크로 사용되는 N95 마스크를 착용 할 필요가 없으며 일반적인 보건용 마스크 KF 제품 또한 바이러스가 호흡기로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합니다. 등급은 KF80 정도면 충분하다고 합니다(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). N95 마스크는 정말로 답답해서 오래 쓰기 힘들다고 하며, 환자와 가까운 곳에서 접촉을 하는 의료진은 수술용 마스크 또는 보호용 마스크(N95 / KN95 마스크)를 사용한다고 합니다.

 

보건용 마스크는 의약외품으로 분류되며 식약처의 허가를 받은 제품을 사용하여야 합니다.

 

3. 마스크의 올바른 사용방법은?

etc-image-4

 

마스크를 쓰는 방법이 중요한데 외부공기가 마스크를 통해서만 들어오게끔 최대한 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특히, 코부분 쇠 부분을 눌러 주어 코 부분을 잘 밀착 시켜야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.

 

마스크는 일회용이며, 재사용을 하고자 마스크를 끓는 물에 넣어 소독하면 필터층이 손상되어 제 기능을 못하게 됩니다. 한번 사용한 뒤 밀봉을 해서 버리고 새 제품을 사용하여야 합니다.